MY MENU

연구소 소식

설립배경

러시아연구소의 역사는 1972년 1월 13일 ‘소련 및 동구문제연구소’로 거슬러 올라간다. 우리나라와 공산권 국가들의 교류가 전혀 없었던 당시, 러시아연구소는 소련 및 사회주의 국가와 북한의 정기간행물을 수집하고 자료를 조사, 분석, 검토하는 국내 유일한 연구소로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이후 우리나라의 북방정책으로 소련을 비롯해 동유럽 공산권 국가들과의 국교가 수립되면서 본 연구소는 사회주의권 연구의 메카로 부상하였다. 1991년 소련이 해체되어 독립국가연합(CIS)이 탄생하자, 연구소는 러시아를 비롯해 탈소비에트 공간에서 새롭게 형성된 15개 주권국가들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심층적으로 고찰하는 전문연구소로 재탄생하였고, 1993년 러시아연구소로 연구소 명칭을 변경하였다.

본 연구소는 1980년대부터 세계 각국의 선진적인 지역연구 성과를 수용 및 발전시키려는 차원에서 해외학자 초청 특강을 비정기적으로 진행해왔다. 2010년 3월부터는 학자들은 물론 각계 전문가들로 연사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그 명칭을 해외명사 초청 강연회로 변경했다.

제목

김석환 교수 초청강연회 개최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3.11.08
첨부파일0
조회수
71
내용

러시아연구소(소장 표상용 노어과 교수)2023111() 17~19시 서울캠퍼스 국제관 113호에서 김석환 한국외국어대 국제지역대학원 초빙교수를 모시고 초청강연회를 개최했다. 인문한국(HK+ II) 지역인문학센터 사업의 일환으로 기획된 이번 행사에서 김석환 교수는 러시아, 한국, 그리고 세계: 안팎의 시선: 이미지와 실재를 통한 이해라는 주제로 강의했다. 김석환 교수는 러시아, 한국 그리고 세계: 안팎의 시선이라는 대주제 하에서 러시아를 포함해 국제사회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정치 경제적 행태들을 이미지와 실재라는 구체적 비교를 통해 설명했다.

강의를 통해 먼저, 김석환 교수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의 의도와 향후 러시아의 진로에 대해 확인되지 않은 각종 분석들이 난무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런 혼란은 결국 러시아라는 나라의 국가적 성격과 국민과 관계, 역사적 궤적과 이 과정에서 보여준 엘리트들의 행동과 세계 및 주변에 대한 인식, 세계관에 대한 이해, 러시아 지도자들의 상황 인식과 그에 기반한 정책의 출현 과정 등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요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모든 국가들에 대한 인식이 동일하다고 할 수 있지만, 러시아에 대한 인식은 러시아인이 인식하는 러시아와 반대로 외부인이 이해하는 러시아 사이에서 나타나는 간극을 이해하는 데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더불어 김석환 교수는 러시아는 기본적으로 세 가지 이미지를 갖고 있는데, 첫째, 패권국가(주로 냉전기에 형성, 소련 시절의 이미지가 잔존), 둘째, 자원 부국(고유가 시대, 2000년대 초중반), 셋째, 신흥국가(BRICS 국가, 2000년대 이후) 등이다. 이런 이미지는 다른 방식으로도 표현할 수도 있다면서 첫째, 강국(Strong): 외교, 안보에서 비쳐지는 이미지, 둘째, 대국(Big): 자원 부국, 영토적 이미지, 셋째, 혁신 국가(Innovation): 과학기술 및 문화 이미지, 넷째, 취약 국가: 부패, 인권, 인구, 경제 구조 등 사회경제적 이미지를 강조하면서 상기한 이미지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이미지에 대한 비교 분석적인 설명과 질문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