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 동정         연구소 소식

“러시아의 정체성 정치와 루스키미르” 학술회의 개최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31

2025년 2월 25(우리대학 러시아연구소(소장표상용 노어과 교수) HK+연구사업단은 인문한국 프로젝트 학술 활동의 일환으로 국내학술회의를 개최했다이번 학술회의는 HK+연구사업(아젠다러시아 인문공간의 재인식러시아 속의 세계세계 속의 러시아) 2단계의 3년차 학술 활동으로, “러시아의 정체성 정치와 루스키미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1세션의 문을 연 김선래 HK연구교수는 러시아의 포스트소비에트 근외정책과 코카서스3국의 지정학적 인식이라는 주제로러시아의 공세적 코카서스 정책에 대항한 이들 국가의 대응 전략을 분석하여 해당 지역 내 불안정한 안보 상황의 해결 방향을 제시했다뒤이어 김현진 학술연구교수는 디지털 권위주의와 루스키미르카자흐스탄과 벨라루스 디지털 검열 정책 비교라는 제목으로카자흐스탄과 벨라루스의 디지털 검열방식 비교를 통해 러시아가 자국의 디지털 권위주의 모델을 포스트소비에트 국가로 확산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그리고 전미라 HK연구교수는 적의 목소리: InoSMI 사이트를 통해 본 러시아 외국 언론 정책의 서사전략이라는 주제로외국 언론 기사를 선별하여 러시아어로 번역하여 게재하는 InoSMI가 언론 매체로서의 변화를 추구하기보다는자신들이 그리는 러시아적인 세계를 공감하는 독자들을 위한 서사 담론을 생산한다고 분석했다.





2세션에서 라승도 HK연구교수는 기념제의 문화정치학푸틴 시대 푸시킨 숭배와 루스키미르 이데올로기라는 발표를 통해푸틴 시대 약 25년 동안 진행된 러시아의 대문호 푸시킨 탄생 기념제를 되돌아보고특히 2024년 러시아어의 날을 맞아 러시아 국내외에서 다채롭게 열렸던 푸시킨 탄생 225주년 기념제가 시사하는 바를 설명했다마지막으로 김혜진 HK연구교수는 평택 포승읍 고려인 공동체의 형성과 발전 특징이라는 발표문을 통해 소련 해체 이후 역사적 조국인 한국으로 들어온 고려인의 수가 증가하면서 국내 곳곳에 고려인 공동체가 꾸려지는 가운데비교적 신생 고려인 밀집 거주지라 할 수 있는 평택 포승읍 고려인 공동체의 형성 배경과 특징을 분석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