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 소개         연혁

연혁

설립배경

러시아연구소의 역사는 1972년 1월 13일 ‘소련 및 동구문제연구소’로 거슬러 올라간다. 우리나라와 공산권 국가들의 교류가 전혀 없었던 당시, 러시아연구소는 소련 및 사회주의 국가와 북한의 정기간행물을 수집하고 자료를 조사, 분석, 검토하는 국내 유일한 연구소로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이후 우리나라의 북방정책으로 소련을 비롯해 동유럽 공산권 국가들과의 국교가 수립되면서 본 연구소는 사회주의권 연구의 메카로 부상하였다. 1991년 소련이 해체되어 독립국가연합(CIS)이 탄생하자, 연구소는 러시아를 비롯해 탈소비에트 공간에서 새롭게 형성된 15개 주권국가들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심층적으로 고찰하는 전문연구소로 재탄생하였고, 1993년 러시아연구소로 연구소 명칭을 변경하였다.

1972.01.13. 한국외국어대학교 부설 ‘소련 및 동구문제연구소’ 설립
초대 연구소장에 동완 교수 취임
1975.09.01. 제2대 소장에 김학수 교수 취임
1978.03.01. 제3대 소장에 조규화 교수 취임
1978.03. 문교부 지원 1차 공산권 연구 5개년 프로젝트 참여(소련 연구)
1980.06.10. 제4대 소장에 강흥주 교수 취임
1982.12. 학술지 ‘슬라브硏究’ 창간
1983.12.16. 제5대 소장에 이종진 교수 취임
1985.02.07. 제6대 소장에 조규화 교수 취임
1985.03. 문교부 지원 2차 공산권 연구 5개년 프로젝트 참여
1986.08.26. 제7대 소장에 기연수 교수 취임
1991.03.04. 제8대 소장에 이철 교수 취임
1993.03.02. ‘러시아연구소’로 명칭 변경
1993.08.01. 제9대 소장에 이종진 교수 취임
1994.03.01. 제10대 소장에 강흥주 교수 취임
1994.09. 한국학술진흥재단 대학부설 중점연구소 선정(‘러시아정교회연구’)
1995.08.01. 제11대 소장에 이철 교수 취임
1997.09. 한국학술진흥재단 해외지역연구과제 선정(‘러시아문화의 특수성과 보편 성’)
1998.09.01. 제12대 소장에 강흥주 교수 취임
1998.09. 한국학술진흥재단 우수과제연구 선정(‘러시아와 CIS에서의 한국학과 한국어교육 연구’)
1999.05. 공간 확대를 위해 용인캠퍼스(현 글로벌캠퍼스) 외국학종합연구센터(현 국제사회교육원)로 연구소 이전
2000.03.01. 제13대 소장에 기연수 교수 취임
2000.06. 재외동포재단 위탁사업 ‘CIS 한국어교사 한국어연수’(1기) 수행
2000.12. 한국학술진흥재단 인문학 육성 지원과제 선정(‘러시아 민간신앙 연구’)
2001.06. 재외동포재단 위탁사업 ‘CIS 한국어교사 한국어연수’(2기) 수행
2001.09. 한국학술진흥재단 인문학 육성 지원과제 선정(‘러시아어 음운현상의 통시성과 공시성 연구’)
2001.12. 학술지 ‘슬라브硏究’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후보지 선정
2002.06. 재외동포재단 위탁사업 ‘CIS 한국어교사 한국어연수’(3기) 수행
2002.12. 한국학술진흥재단 기초학문과제 선정(‘21세기 상트페테르부르크 재조명: 러시아의 세계화와 지리·공간적 권력이동을 중심으로’)
2003.06. 재외동포재단 위탁사업 ‘CIS 한국어교사 한국어연수’(4기) 수행
2003.09. 한국학술진흥재단 기초학문과제 인문사회분야 선정(‘21C 러시아의 국가전략과 이슬람: 카프카즈 이슬람 세력과의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2003.12. 한국학술진흥재단 협동연구 지원과제 선정(‘20세기 러시아 환상문학의 시학: 예술적 상상력을 통한 체제 뒤집기’)
2004.12.30. 학술지 ‘슬라브硏究’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지 선정
2005.09. 한국학술진흥재단 기초학문과제 인문사회분야 선정(‘新냉전 헤게모니와 포스트 소비에트 공간: 흑해-카스피해-중앙아시아를 잇는 러시아 남부벨트를 중심으로’)
2007.08. 한국학술진흥재단 기초학문과제 인문사회분야 선정(‘‘동’과 ‘서’ 사이에서: 슬라브 형제국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의 국가발전전략’)
2008.02.01. 제14대 소장에 장실 교수 취임
2008.08. 지식경제부 정책과제 ‘한-러시아·CIS 산업협력사업: 한·러 경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기반 정보 구축’
2008.11. 한국국제교류재단 위탁사업 ‘러시아 교육자 한국학 워크숍’(1기) 수행
2009.02.01. 제15대 소장에 홍완석 교수 취임
2009.03. e-journal ‘Russia·CIS Focus’ 창간
2009.07. 문화관광부 ‘한-러 문화교류 기초조사’ 수행
2009.08. 한국국제교류재단 위탁사업 ‘러시아 교육자 한국학 워크숍’(2기) 수행
2009.11. 한국연구재단 인문한국(HK) 사업 해외지역연구분야 연구소 선정(‘러시아연방 인문공간의 한국적 재구성’)
2010.03. 계간 러시아 지역정보지 ‘Russia & Russian Federation’ 창간
2010.08. 한국국제교류재단 위탁사업 ‘러시아 교육자 한국학 워크숍’(3기) 수행
2011.05.20. 제1회 전국 대학(원)생 러시아어 토론대회 개최
2011.08. 한국국제교류재단 위탁사업 ‘러시아 교육자 한국학 워크숍’(4기) 수행
2011.09. 교육과학기술부 대학 부설 연구소 연구력 지수 평가에서 전국 대학 러시아·CIS 연구기관들 중 유일하게 상위 20위 내에 진입(16위)
2012.01.01. 영문국제학술지 ‘REGION’ 창간
2012.01.13. 러시아연구소 창립 40주년 기념식 개최
2012.06.06. ‘콘스탄틴 브누코프 주한 러시아연방 대사와의 만남’ 개최
2012.07~08. 한국국제교류재단 위탁사업 러시아 교육전문가 초청 워크숍 개최
2013.08. 한국국제교류재단 위탁사업 러시아 교육전문가 초청 워크숍 개최
2013.09.12. 유라시아 7개국 대사 초청 정책포럼 개최
2014.03.12. 제16대 소장에 김현택 교수 취임
2015.08.31. 지식공유사업(KSP): 러시아 사할린주 프로젝트 수주
2017.03.01. 제17대 소장에 강덕수 교수 취임
2017.05.23. 러시아연구소에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 한국대표부 개소
2017.09.01.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선정(‘디지털 아카이브로 보는 일제강점기(1910-1945) 한국과 러시아·한인의 역사: 러시아문서보관소 자료를 중심으로’)
2018.10.04. 발렌티나 마트비옌코 러시아연방 상원의장 특강 ‘한국과 러시아의 미래지향적 파트너쉽’
2019.09.01. 제18대 소장에 표상용 교수 취임
2019.09.10. 한국연구재단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 제2유형 선정(‘러시아 인문공간의 재인식: 러시아 속의 세계, 세계 속의 러시아’)
2021.03. 산업통상자원부 양자산업협력사업 중 신북방정책포럼사업 수행기관 선정
2021~2023. 외교부 한-러 싱크탱크 네트워크 구축 사업 선정
2022.06.30. 창립 50주년 학술회의 및 기념식 개최
2024~2025. 외교부 한-러 싱크탱크 네트워크 구축 사업 선정
2025.03.01. 제19대 소장에 최우익 교수 취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