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는 2015년 창립한 한국북극연구컨소시엄(KoARC)에 창립 주체로 참여하여 러시아 지역연구 중 북극 연구를 특화하여 진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HK연구사업(2009~2019년)과 HK+ 2유형 연구사업(2019~2026년) 중 러시아 북극 연구를 수행하였고, 극지연구소로부터 2018년 PAP 연구과제(러시아 북극권 개발과 지역사회 변화 연구)를 수주하여 2022년까지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2020년에 한국외대 송도캠퍼스에 극지연구센터를 발족하여 한층 더 개선된 연구 환경을 마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극지연구센터는 2022~24년까지 매년 극지연구소로부터 ‘한국형 북극 정보지도 인터페이스’ 연구사업을 수주하여 진행하였다.
러시아 북극권 개발과 지역사회 변화 연구 (극지연구소 PAP 연구과제): 2018~2022년
본 연구과제는 러시아 북극권 개발과 그로 인해 일어난 지역사회 변화 양상들을 사회·경제적 측면과 법률·제도적 측면, 역사·문화적 측면에서 조명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러시아연방 북서부에서 극동까지 이르는 광범위한 북극권 지역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1년에 한 부분씩 3년에 걸쳐 고찰히였다.
1차 연도에는 무르만스크주와 코미공화국, 네네츠 자치구 등 북서 지역 개발과 지역사회 변화를 사회·경제적, 법률·제도적, 역사·문화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2차 연도에는 야말로네네츠 자치구의 노비우렌고이,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강주의 산업 개발 도시 노릴스크 등을 중심으로 시베리아 북극권 개발과 지역사회 변화를 사회·경제적, 법률·제도적, 역사·문화적 측면 등에서 분석하였다.
3차 연도에는 야쿠티아와 콜리마, 추코카, 캄차카 등 극동권 산업 개발과 지역사회 변화를 사회·경제적, 법률·제도적, 역사·문화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한국형 북극 정보지도 인터페이스(2년차): 2022년 7~12월
이 과업의 목적은 글로벌 기후변화에 따른 북극권 환경과 생태계 변화, 그리고 이로 인한 경제, 사회 여건 변화 전반에 대하여 지속적이고 시계열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필요한 관련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2021년 제정된 극지활동진흥법에 의거하여 향후 구축될 ‘극지통합정보시스템’에 기여할 수 있도록 ‘북극 정보지도 인터페이스’를 시범적으로 구축하여 이를 중장기 정부 포털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1년 차 사업에서 개발된 인터페이스(GIS)와 러시아 야말로네네츠 자치구 DB 구축 성과와 연계하여, 2년 차 사업에서 자연환경 변화와 사회경제적 변화를 동시에 겪고 있는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강주와 네네츠 자치구 DB를 북극 정보지도 인터페이스에 구현했다.
한국형 북극 정보지도 인터페이스(3년차): 2023년 10~12월
2022년 2년차 과업에 이어 2023년에도 러시아연구소 교수이자 극지연구센터장인 최우익 교수는 극지연구소로부터 3년차 해당 과업을 수주하여 이어갔다. 3년차 과업은 무르만스크주, 추코트카 자치구, 아르한겔스크주, 코미 공화국, 사하 공화국, 카렐리야 공화국의 북극 정보지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 과업의 목적은 글로벌 기후변화에 따른 북극권 환경과 생태계의 변화 및 이로 인한 경제, 사회 여건 변화 전반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북극권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해양수산부 제1차 극지활동진흥기본계획(2022) 내 『산학연 역량 강화를 위한 기능 확대』 일환으로 ‘한국형 북극 정보지도 구축하여 북극권 지역별 인구·산업·경제 정보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사업과 연계된 것이다.
러시아 북극 정보지도 인터페이스 구축과 활용: 2024년 9월 ~ 2025년 2월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정보지도 인터페이스(GIS)를 기반으로 북극권 러시아지역 사회문화, 경제, 지리, 정치, 학술연구 등의 최신 데이터 확보와 모니터링이 가능한 북극권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북극권은 한국의 미래 성장 공간 중 하나로서, 북극 과학 분야를 넘어 국제무대 진출과 미래 산업 발전을 위해 경제·사회 여건 변화 전반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관련 데이터를 수집,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 프로젝트에는 극지연구센터 센터장인 최우익 교수가 연구책임자로, 그리고 운영위원인 최용주 교수가 시스템 구축 자문으로 참여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여파로 러시아와 교류가 제한된 가운데, 국내 非 북극권 전문가나 예비 전문가가 러시아 북극권 현황을 파악하고 연구‧교육 목적의 정보지도 서비스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 프로젝트는 기획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해양수산부 제1차 극지활동진흥기본계획(2022) 내 『국가·사회적 협력 채널 구축』 일환으로 ‘한국형 북극 정보지도를 통한 북극권 지역별 인구·산업·경제 정보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사업과 연계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