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설립배경
러시아연구소의 역사는 1972년 1월 13일 ‘소련 및 동구문제연구소’로 거슬러 올라간다. 우리나라와 공산권 국가들의 교류가 전혀 없었던 당시, 러시아연구소는 소련 및 사회주의 국가와 북한의 정기간행물을 수집하고 자료를 조사, 분석, 검토하는 국내 유일한 연구소로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이후 우리나라의 북방정책으로 소련을 비롯해 동유럽 공산권 국가들과의 국교가 수립되면서 본 연구소는 사회주의권 연구의 메카로 부상하였다. 1991년 소련이 해체되어 독립국가연합(CIS)이 탄생하자, 연구소는 러시아를 비롯해 탈소비에트 공간에서 새롭게 형성된 15개 주권국가들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심층적으로 고찰하는 전문연구소로 재탄생하였고, 1993년 러시아연구소로 연구소 명칭을 변경하였다.
본 연구소는 1980년대부터 세계 각국의 선진적인 지역연구 성과를 수용 및 발전시키려는 차원에서 해외학자 초청 특강을 비정기적으로 진행해왔다. 2010년 3월부터는 학자들은 물론 각계 전문가들로 연사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그 명칭을 해외명사 초청 강연회로 변경했다.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34 | 러시아연구소, 한국유라시아학회, 인천대 중국학술원과 공동 국제학술회의 개최 | 2023.11.03 | 57 |
33 | 러시아연구소, 모스크바에서 국제학술회의 개최 | 2023.11.01 | 69 |
32 | ‘Russophobia – Russkiy Mir Dialectic : A Clash of Civilizations or Two Propagandas?’ | 2023.06.28 | 120 |
31 | 러시아연구소 2022 한러 싱크탱크 네트워크 구축사업 수행 | 2022.12.20 | 228 |
30 | 러시아연구소, ‘유라시아의 대전환과 한국의 전략’을 주제로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산하 경제연구소와 공동으로 국제학술회의 개최 | 2022.11.01 | 268 |
29 | 제1차 한-러 싱크탱크 네트워크 컨퍼런스 개최 신북방정책 관점에서 본 한러협력: 평가와 과제 | 2021.12.29 | 622 |
28 | 제4차 한-러 싱크탱크 네트워크 컨퍼런스 개최 첨부파일 | 2021.12.13 | 421 |
27 | 제3차 한-러 싱크탱크 네트워크 컨퍼런스 개최 첨부파일 | 2021.11.28 | 488 |
26 | 제2차 한-러 싱크탱크 네트워크 컨퍼런스 개최 첨부파일 | 2021.11.28 | 402 |
25 | 독일 역사연구소, 루드비그-막시밀리안스대학교와 국제학술대회 공동 개최 첨부파일 | 2019.03.08 | 22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