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명사 초청 강연
설립배경
러시아연구소의 역사는 1972년 1월 13일 ‘소련 및 동구문제연구소’로 거슬러 올라간다. 우리나라와 공산권 국가들의 교류가 전혀 없었던 당시, 러시아연구소는 소련 및 사회주의 국가와 북한의 정기간행물을 수집하고 자료를 조사, 분석, 검토하는 국내 유일한 연구소로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이후 우리나라의 북방정책으로 소련을 비롯해 동유럽 공산권 국가들과의 국교가 수립되면서 본 연구소는 사회주의권 연구의 메카로 부상하였다. 1991년 소련이 해체되어 독립국가연합(CIS)이 탄생하자, 연구소는 러시아를 비롯해 탈소비에트 공간에서 새롭게 형성된 15개 주권국가들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심층적으로 고찰하는 전문연구소로 재탄생하였고, 1993년 러시아연구소로 연구소 명칭을 변경하였다.
본 연구소는 1980년대부터 세계 각국의 선진적인 지역연구 성과를 수용 및 발전시키려는 차원에서 해외학자 초청 특강을 비정기적으로 진행해왔다. 2010년 3월부터는 학자들은 물론 각계 전문가들로 연사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그 명칭을 해외명사 초청 강연회로 변경했다.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16 | IRS LECTURE SERIES 1 - 자연의 악행: 자원, 국가, 러시아 역사 (강사: Aleksander Etkind) 첨부파일 | 2021.06.16 | 421 |
15 | 안드레이 쿨릭 주한 러시아대사 강연 | 2019.04.18 | 780 |
14 | 안나 디보(Anna Dybo) 교수 강연회, "투르크어 음운론" 첨부파일 | 2019.02.15 | 690 |
13 | 발렌티나 마트비엔코 러시아연방 상원의장 특강 첨부파일 | 2018.11.06 | 682 |
12 | 에브게니야 미하일로바 북동연방대 총장 초청 간담회 첨부파일 | 2017.11.13 | 939 |
11 | 쿠르바노프 상트페테르부르크대학 교수 초청 간담회 첨부파일 | 2017.11.13 | 895 |
10 | 러시아CIS 지역 유대인의 삶과 디아스포라의 역사 첨부파일 | 2012.02.08 | 1511 |
9 | 러시아연방 총선 후유증과 대선 전망 첨부파일 | 2012.02.08 | 1337 |
8 | 장례의식을 통해 본 시베리아 인문공간 | 2011.12.27 | 1278 |
7 | Transnational communicative networks of religious ideologies 첨부파일 | 2011.11.23 | 137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