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ssia Watch
설립배경
러시아연구소의 역사는 1972년 1월 13일 ‘소련 및 동구문제연구소’로 거슬러 올라간다. 우리나라와 공산권 국가들의 교류가 전혀 없었던 당시, 러시아연구소는 소련 및 사회주의 국가와 북한의 정기간행물을 수집하고 자료를 조사, 분석, 검토하는 국내 유일한 연구소로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이후 우리나라의 북방정책으로 소련을 비롯해 동유럽 공산권 국가들과의 국교가 수립되면서 본 연구소는 사회주의권 연구의 메카로 부상하였다. 1991년 소련이 해체되어 독립국가연합(CIS)이 탄생하자, 연구소는 러시아를 비롯해 탈소비에트 공간에서 새롭게 형성된 15개 주권국가들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심층적으로 고찰하는 전문연구소로 재탄생하였고, 1993년 러시아연구소로 연구소 명칭을 변경하였다.
본 연구소는 1980년대부터 세계 각국의 선진적인 지역연구 성과를 수용 및 발전시키려는 차원에서 해외학자 초청 특강을 비정기적으로 진행해왔다. 2010년 3월부터는 학자들은 물론 각계 전문가들로 연사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그 명칭을 해외명사 초청 강연회로 변경했다.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13 | Russia Watch 제13호 <‘게오르기 리본’ : 기억의 상징에서 투쟁의 표징으로> 첨부파일 | 2014.04.29 | 1967 |
12 | Russia Watch 제12호 <경배의 ‘줄’ - 러시아 새해의 종교적 풍경> 첨부파일 | 2014.01.10 | 1918 |
11 | Russia Watch 제11호 <‘사람이 아니므니다’이주노동자는 인간인가 도구인가?> 첨부파일 | 2012.10.23 | 2172 |
10 | Russia Watch 제10호 <“러시아여, 전진하라!”‘푸틴의 아이들,’ 올림픽 남자 유도를 평정하다> 첨부파일 | 2012.08.06 | 1953 |
9 | Russia Watch 제9호 <영웅의 귀환 - ‘스탈린 르네상스,’ 어디까지 왔고 어디까지 갈까?> 첨부파일 | 2012.04.13 | 1982 |
8 | Russia Watch 제8호 <푸틴의 공원,‘저주의 땅’에서 ‘약속의 땅’으로> 첨부파일 | 2012.04.03 | 1932 |
7 | Russia Watch 제7호 <인간의 얼굴을 한 푸틴이즘 - ‘푸틴의 눈물,’ 예술로 승화되다> 첨부파일 | 2012.03.24 | 1894 |
6 | Russia Watch 제6호 <소비에트 노스텔지어 '호모 데모크리투스'의 성장에 독이 되다> 첨부파일 | 2012.03.08 | 2081 |
5 | Russia Watch 제5호 <우리 뒤에 승리가 있을 것이다: ‘푸틴 쇼’, 전쟁의 기억을 재소환하다> 첨부파일 | 2012.03.02 | 1841 |
4 | Russia Watch 제4호 <푸틴의 성탄절: 종교적 행보의 정치적 의미> 첨부파일 | 2012.01.17 | 1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