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호 보기
설립배경
러시아연구소의 역사는 1972년 1월 13일 ‘소련 및 동구문제연구소’로 거슬러 올라간다. 우리나라와 공산권 국가들의 교류가 전혀 없었던 당시, 러시아연구소는 소련 및 사회주의 국가와 북한의 정기간행물을 수집하고 자료를 조사, 분석, 검토하는 국내 유일한 연구소로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이후 우리나라의 북방정책으로 소련을 비롯해 동유럽 공산권 국가들과의 국교가 수립되면서 본 연구소는 사회주의권 연구의 메카로 부상하였다. 1991년 소련이 해체되어 독립국가연합(CIS)이 탄생하자, 연구소는 러시아를 비롯해 탈소비에트 공간에서 새롭게 형성된 15개 주권국가들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심층적으로 고찰하는 전문연구소로 재탄생하였고, 1993년 러시아연구소로 연구소 명칭을 변경하였다.
본 연구소는 1980년대부터 세계 각국의 선진적인 지역연구 성과를 수용 및 발전시키려는 차원에서 해외학자 초청 특강을 비정기적으로 진행해왔다. 2010년 3월부터는 학자들은 물론 각계 전문가들로 연사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그 명칭을 해외명사 초청 강연회로 변경했다.
슬라브연구
번호 | 제목 | 발행일자 |
---|
88 슬라브연구 39 - 3
파일 2023.09
87 슬라브연구 39 - 2
파일 2023.06
86 슬라브연구 39 - 1
파일 2023.03
85 슬라브연구 38 - 4
파일 2022.12
84 슬라브연구 38 - 3
파일 2022.09
83 슬라브연구 38 - 2
파일 2022.06
82 슬라브연구 38 - 1
파일 2022.03
1 | 러시아 연해주의 해양경계와 중일전쟁 | ![]() |
2 | 문재인 정부의 한국-우즈베키스탄 경제협력 성과와 과제 | ![]() |
3 | 지속 가능한 러시아 북극 원주민의 미래 - 청소년 미술 공모전 출품작을 통해서 본 사하공화국 북극 원주민의 삶 - | ![]() |
4 | ‘잉여인간’의 권태: 오네긴의 경우 | ![]() |
5 | 구로사와 아키라의 「데르수 우잘라」 연구 | ![]() |
81 슬라브연구 37 - 4
파일 2021.12
80 슬라브연구 37 - 3
파일 2021.09
79 슬라브연구 37 - 2
파일 2021.06
78 슬라브연구 37 - 1
파일 2021.03
77 슬라브연구 36 - 4
파일 2020.12
76 슬라브연구 36 - 3
파일 2020.09
75 슬라브연구 36 - 2
파일 2020.06
74 슬라브연구 36 - 1
파일 2020.03.30
73 슬라브연구 35 - 4
파일 2019.12
1 |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균열과 러시아의 주권적 국제주의 | ![]() |
2 | 알렉산드르 2세 개혁기 러시아 인쇄산업의 발전 양상에 대한 소고 | ![]() |
3 | 냉전 시기 소련-북한의 비대칭동맹과 북한의 자주외교 | ![]() |
4 | A Possible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Korea and Russia for Economic Development | ![]() |
72 슬라브연구 35 - 3
파일 2019.09
71 슬라브연구 35 - 2
파일 2019.06
1 | 러시아 극동지역의 산업구조 분석: 특화계수와 노동생산성 변화를 중심으로 | ![]() |
2 | 19세기 러시아 문학의 세속적 기호(1): 그리보예도프, 푸시킨, 고골의 문학 속에 비친 무도회와 살롱 | ![]() |
3 | 시베리아 에벤족 설화에 나타난 새들의 신화적 형상 | ![]() |
4 | 아쿠닌의 희곡 『음양』과 이원성 | ![]() |
5 | 톨스토이의 『유년 시절』: 슬픈 기억의 윤리학 | ![]() |
70 슬라브연구 35 - 1
파일 2019.03
69 슬라브연구 34 - 4
파일 2018.12
68 슬라브연구 34 - 3
파일 2018.09
1 | 2018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평가: 푸틴의 압승 원인을 중심으로 | ![]() |
2 |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문재인 정부의 대러정책 | ![]() |
3 | Enhancing the Syntactic Typology of Ditransitive Verbs in Russian | ![]() |
67 슬라브연구 34 - 2
파일 2018.06
66 슬라브연구 34 - 1
파일 2018.03
65 슬라브연구 33 - 4
파일 2017.12
64 슬라브연구 33 - 3
파일 2017.09
1 | 국가의 탄생과 혁명의 적들: 사회주의 리얼리즘 범죄 스릴러 | ![]() |
2 | 한국의 신 국익공간으로서 비세그라드 그룹(V4): ‘V4+1’ 협력의 의미와 과제 | ![]() |
3 | 문화와 혁명, 또는 마음의 정치학: 보그다노프와 프롤레타리아 문화의 (불)가능성 논쟁 | ![]() |
4 | 제2차 세계대전 시기 붉은 군대 전투 역량의 실상과 허상 | ![]() |
5 | ‘검열 테러 시대’의 검열: 비상검열위원회를 중심으로 | ![]() |
63 슬라브연구 33 - 2
파일 2017.06
1 | 러시아 투자의 패러독스: 2012~2016년 러시아 외국인직접투자 부진 원인에 관한 연구 | ![]() |
2 | 러시아 구교도 상인의 영적 세계와 문화적 함의 | ![]() |
3 | 러시아어에 나타난 10월 혁명의 파토스와 에토스 | ![]() |
4 | 경/연자음 체계 내에서의 대칭성과 비대칭성 - 치경구개음과 경구개음을 중심으로 - | ![]() |
62 슬라브연구 33 - 1
파일 2017.03
61 슬라브연구 32 - 4
파일 2016.12
60 슬라브연구 32 - 3
파일 2016.09
59 슬라브연구 32 - 2
파일 2016.06
1 | 북한 붕괴 이후 상황에서의 러시아의 대응과 역할에 관한 연구 | ![]() |
2 | 러시아어 통·번역을 전제한 한국어의 목적격조사 '을/를'의 기능과 의미에 대한 연구 | ![]() |
3 | 캅카스 3개국 언어정책과 러시아어 상황 연구 | ![]() |
58 슬라브연구 32 - 1
파일 2016.03
1 | 러시아 자유항 제도 도입의 전략적 의미와 협력 방안: 블라디보스토크 자유항 법을 중심으로 | ![]() |
2 | 2006~2015년 한국의 러시아정치연구: 비판적 성찰과 도약을 위한 과제 | ![]() |
3 | 「선봉」에 나타난 연해주 한인사회의 계몽과 사회이념의 디스플레이:1920~30년대 한인 신문 「선봉」의 주요 삽화를 중심으로 | ![]() |
4 | 러시아적 일상과 두 이론: 형식주의 vs 바흐친 | ![]() |
57 슬라브연구 31 - 4
파일 2015.12
56 슬라브연구 31 - 3
파일 2015.10
1 | 유라시아경제연합의 화폐통합 가능성 평가와 과제:유럽 화폐통합 사례의 함의 | ![]() |
2 | 기록보존소 자료를 통해 본 소비에트 시기 최초의 한인 해군장교(최 파벨 페트로비치)의 죽음과 스탈린 탄압의 비극 | ![]() |
3 | 한-러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의 조건과 과제 | ![]() |
4 | 백석의 『고요한 돈』번역 연구 | ![]() |
5 | 러시아어의 "슬픔"의미 연구: 감정 언어의 인지의미론적 고찰 | ![]() |
55 슬라브연구 31 - 2
파일 2015.07
54 슬라브연구 31 - 1
파일 2015.03
1 | 중앙아시아 전통도시 타슈켄트의 문화 다원성과 도시 구조 변화 | ![]() |
2 | 19세기 1/4분기 해외무역으로 본 러시아의 경제 상황 | ![]() |
3 | 소비에트의 유대인 작가들: 경계인으로서의 다중 정체성과 그 예술적 실현 | ![]() |
4 | 인간과 기술에 대한 문학적 고찰: 플라토노프 작품을 중심으로 | ![]() |
5 | 러시아어의 구조화된 술어 생략: 폴란드어, 체코어, 불가리아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 |
53 슬라브연구 30 - 4
파일 2015.03
1 | 유라시아경제연합(EEU)과 EU: 정체성 대립의 새로운 전선 | ![]() |
2 | 해방 전 소련의 대한반도 정책 구상과 조선 정치세력에 대한 입장 | ![]() |
3 | 러시아 극동지역개발 전략으로서 선도경제구역 설립의 의미와 전망 | ![]() |
4 | 신화 분석을 통한 시베리아 지역정체성 연구 | ![]() |
5 | 안드레이 즈뱌긴체프의 영화 『리바이어던』 연구 | ![]() |
6 | 러시아어 지소형의 메타언어기능 | ![]() |
7 | 발트 3국의 언어정책 | ![]() |
52 슬라브연구 30 - 3
파일 2014.09
51 슬라브연구 30 - 2
파일 2014.06
50 슬라브연구 30 - 1
파일 2014.03
1 | ‘강대국’으로의 복귀?: 푸틴 시대의 대외정책 (2000~2014) | ![]() |
2 | 중앙아시아 여성이주: 비경제적 요인의 영향을 중심으로 | ![]() |
3 | 1970~80년대 카자흐스탄 고려인의 타민족과의 결혼현상을 통한 다민족 관계 발전 연구 | ![]() |
4 | 현대 러시아 젊은층 ‘은어’ 고찰(어휘-의미론적 특징을 중심으로) | ![]() |
49 슬라브연구 29 - 4
파일 2013.12
48 슬라브연구 29 - 3
파일 2013.09
47 슬라브연구 29 - 2
파일 2013.06
46 슬라브연구 29 - 1
파일 2013.03
45 슬라브연구 28 - 4
파일 2012.12
1 | 19세기 후반 타슈켄트의 근대화 과정 -러시아식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일고찰- | ![]() |
2 | 소수민족에 대한 소련의 언어정책 | ![]() |
3 | 백석의 푸시킨 번역시 연구 | ![]() |
4 | 오리엔탈리즘과 바츨라프 세로셰프스키의 『한국』 | ![]() |
44 슬라브연구 28 - 3
파일 2012.09
43 슬라브연구 28 - 2
파일 2012.05
42 슬라브연구 28 - 1
파일 2012.03
1 | ≪Мёртвые души≫_ атрибуция названия и образы героев поэмы | ![]() |
2 | 러시아 문학_문화_ 이론에서 중심-주변 모델의 문제_ 위상학적 공간성에서 탈구된 시간성으로 | ![]() |
3 | 중앙아시아의 노동 이주 현황과 사회 경제적 영향 | ![]() |
4 | 타데우슈 보롭스키의 홀로코스트 소설과 정체성의 문제 | ![]() |
41 슬라브연구 27 - 4
파일 2011.11
40 슬라브연구 27 - 3
파일 2011.10
39 슬라브연구 27 - 2
파일 2011.06
38 슬라브연구 27 - 1
파일 2011.03
1 | 포스트 크라이시스 세계와 한,러 경제협력 | ![]() |
2 | 러시아 이슬람의 지역 정체성과 이슬람 단체 특성 연구 | ![]() |
3 | Who Rules Russia? The Power Elite of the Russian Federation | ![]() |
4 | 곰브로비치의 트란스-아틀란틱에 나타난 정상과 자유의 개념 | ![]() |
5 | 러시아어 억양구 연구 | ![]() |
37 슬라브연구 26 - 2
파일 2010.12
36 슬라브연구 26 - 1
파일 2010.06
35 슬라브연구 25 - 2
파일 2009.12
34 슬라브연구 25 - 1
파일 2009.06
33 슬라브연구 24 - 2
파일 2008.12
32 슬라브연구 24 - 1
파일 2008.06
31 슬라브연구 23 - 2
파일 2007.12
30 슬라브연구 23 - 1
파일 2007.06
29 슬라브연구 22 - 2
파일 2006.12
28 슬라브연구 22 - 1
파일 2006.06
27 슬라브연구 21 - 2
파일 2005.12
26 슬라브연구 21 - 1
파일 2005.06
25 슬라브연구 20 - 2
파일 2004.12
24 슬라브연구 20 - 1
파일 2004.06
23 슬라브연구 19 - 2
파일 2003.12
22 슬라브연구 19 - 1
파일 2003.06
21 슬라브연구 18 - 2
파일 2002.12
20 슬라브연구 18 - 1
파일 2002.06
19 슬라브연구 17 - 2
파일 2001.12
18 슬라브연구 17 - 1
파일 2001.06
17 슬라브연구 16 - 2
파일 2000.12
16 슬라브연구 16 - 1
파일 2000.06
15 슬라브연구 15
파일 1999
14 슬라브연구 14
파일 1998
13 슬라브연구 13
파일 1997
12 슬라브연구 12
파일 1996
11 슬라브연구 11
파일 1995
10 슬라브연구 10
파일 1994
1 | 교회슬라브어의 역사와 특성 | ![]() |
2 | 끼예프時代의 敎會와 國家 | ![]() |
3 | 政敎會와 토착신앙 | ![]() |
4 | 동방교회와 서방교회 : 교회와 국가의 관계 | ![]() |
5 | 러시아 정교와 중세러시아 문학 | ![]() |
6 | 帝政 러시아의 학교교육 유산 | ![]() |
7 | 러시아 모더니즘 연구 | ![]() |
8 | 숙쉰 단편의 갈등 구조 | ![]() |
9 | 독립국가 연합의 경제관계 및 전망 | ![]() |
10 | "마호가니"연구 | ![]() |
11 | 韓國戰 당시 소련의 對 극동정책 | ![]() |
9 슬라브연구 9
파일 1993
1 | 獨立國家聯合의 實際와 韓國의 對應 | ![]() |
2 | 韓國과 러시아의 關係展望 | ![]() |
3 | 국과 러시아간의 효과적 기술교류에 관한 연구 | ![]() |
4 | 러시아의 市場經濟로의 이행과 한러간의 資本協力 | ![]() |
5 | 러시아의 資源開發에 대한 韓國의 參與展望 | ![]() |
6 | 구소련내의 민족갈등문제 | ![]() |
7 | 大審問官硏究 - 자유의 문제를 중심으로 | ![]() |
8 | "연기"와 "여름인상에 관한 겨울수기"에 나타난 서구주의와 슬라브주의... | ![]() |
8 슬라브연구 8
파일 1992
7 슬라브연구 7
파일 1991
1 | 소련의 對韓半島 政策 變遷 | ![]() |
2 | 東北아시아의 環境과 韓半島 | ![]() |
3 | 뻬레스뜨로이까 시기에 있어서 蘇聯의 對韓政策 | ![]() |
4 | 소련 對外貿易의 性格變化와 韓蘇貿易 | ![]() |
5 | 소련의 貿易制度와 韓蘇貿易 | ![]() |
6 | 소련의 經濟改革과 韓蘇貿易 | ![]() |
7 | 구한말 韓蘇關係史 | ![]() |
8 | 韓國人의 러시아 移民史 | ![]() |
6 슬라브연구 6
파일 1990
1 | 소련 外交政策의 持續과 變化 | ![]() |
2 | 中蘇關係 정상화의 전개과정과 그 영향 | ![]() |
3 | 冷戰終息과 新國際체制 | ![]() |
4 | 소련의 對先進圈 貿易政策 | ![]() |
5 | 소련의 對開發途上圈 貿易 | ![]() |
6 | 소련과 동구 社會主義 국가간의 貿易商品 구조분석 | ![]() |
7 | 소련 文化政策의 現代的 좌표 | ![]() |
8 | 소련의 敎育制度와 改革展望 | ![]() |
9 | A. H. 라지시체프의 思想과 哲學 | ![]() |
10 | 소련의 膨脹主義와 民族主義 | ![]() |
5 슬라브연구 5
파일 1989
1 | 蘇聯共産黨과 政策決定 | ![]() |
2 | 소련의 改革政策과 國家機構의 위상 | ![]() |
3 | 소련의 勞動組合과 政策參與 | ![]() |
4 | 소련의 勞動組合의 역할 | ![]() |
5 | 소련의 産業化過程과 企業 | ![]() |
6 | 소련의 農業集團化 | ![]() |
7 | 소련의 文化政策 변화 | ![]() |
8 | 소련의 현생 社會保障制度에 대한 고찰 | ![]() |
9 | 제까브리스뜨 反亂과 제까브리스뜨 文學 小考 | ![]() |
10 | 自然學派와 1840년대 러시아 리얼리즘 | ![]() |
4 슬라브연구 4
파일 1988
3 슬라브연구 3
파일 1987
2 슬라브연구 2
파일 1984
1 | 쏘비에뜨 문학의 | ![]() |
2 | Geistiger Widerstand in Werke von A. Solzenicyn... | ![]() |
3 | 러시아 農民共同체의 歷史的 意味 | ![]() |
4 | 古代 露語의 音聲學的 硏究 | ![]() |
5 | 도스또예프스키 연구의 현황 | ![]() |
6 | 러시아 最初支配權力의 形成과 그 性格 | ![]() |
7 | 東歐圈에서의 反體制運動과 政治發展 | ![]() |
1 슬라브연구 1
파일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