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
10월
16일
, 송도 국제교육센터에서 러시아연구소는 극지연구소
, EU연구소
, 중남미연구소와 공동으로
'2020 한국외대 극지연구센터 학술대회
'를 개최했다
. 이번 학술대회는
‘글로벌 극지학의 동향과 전망
’이라는 주제로 남극과 북극을 아우르는 극지 지역 관련 인문사회연구 분야를 다루었다
.
최우익 극지연구센터 센터장은 개회사에서
'극지연구센터는 교내 연구 집단을 융통성 있게 조직하는 창구 역할을 하면서 극지 활동 인력을 교육하고 양성하는 기능을 할 것이며
, 이것은 국내 극지학의 새로운 지평을 염과 동시에 대학의 자생적 연구역량 강화와 수익에도 이바지하는 바탕이 될 것
'이라고 전했으며
, 우리대학 김인철 총장과 강성호 극지연구소장
(KOPRI)의 축사가 이어졌다
.
이번 학술대회는 권역별 총
3개 세션으로 진행되었다
. 첫 번째 세션
‘러시아 북극권 개발과 지역사회 변화연구
’는 배재대학교 한종만 교수의 사회로 북극 인구 이주와 교대노동
(최우익 발표
, 강윤희 토론
), 북극 관광 개발과 현황
(라승도 발표
, 이재혁 토론
), 북극 자원
, 인간
, 경제
(김정훈 발표
, 서현교 토론
) 영역에 대하여 다루었다
. 두 번째 세션
‘기회의 땅 극지역
: 유럽의 극지역 연구동향과 미래 전략
’에서는 우리대학 곽선주 교수의 사회로 남극과 북극 지역 관련법
(김봉철 발표
, 김민수 토론
), 북유럽 안보협력과 노르딕방위협력기구
(오창룡 발표
, Tomaz Wierzbowski 토론
), 북극 블랙카본 배출량 감축
(정혁 발표
, 이하얀 토론
) 영역에 대하여
, 마지막 세션
‘남미 생태 문명의 보고
, 파타고니아
: 개발과 보호의 딜레마
’에서는 우리대학 중남미연구소 전용갑 교수의 사회로 셰일개발과 환경문제
(최해성 발표
, 김윤경 토론
), 빙하보존지역 수력발전 댐 건설
(하상섭 발표
, 조구호 토론
), 우주기지 구축과 지정학적 함의
(손혜현 발표
, 김송죽 토론
) 영역에 대하여 심도있고 진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
또한
, 이날 행사에는 인천광역시 임현택 해양수산협력관이 참석하여 향후 한국외국어대학교와 극지연구소
(KOPRI), 그리고 인천시가 함께 극지 연구를 협력해갈 것을 당부하였다
.
이번 공동학술대회는 지역학의 대상으로서의 남극과 북극의 연구를 한 자리에 모아 다양한 인문사회과학의 학제 간 연구를 통하여 연구의 저변을 넓혔다는 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