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학술지         최신발간서적         신간소개

루스키 미르: 세계 속의 러시아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25


러시아는 최근 들어 국제무대에서 소비에트 체제 해체 이전에 누렸던 위상과 영광을 조금씩 되찾아가고 있다. 이 책은 이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러시아의 세계적 영향력과 존재감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오늘날 러시아가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에서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전망한다. 더 나아가 세계와 조응하며 러시아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만들어졌고, 앞으로 러시아는 세계와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며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전망의 답을 얻고자 한다.

러시아 세계라는 의미의 러시아어 루스키 미르(Русский мир)’는 러시아어·문학 교육과 친러 세력 양성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대표적인 공공외교 기관의 이름이지만, 동시에 러시아어와 러시아에 대한 이해라는 공통 분모로 통합을 꾀하고 있는 러시아 문화제국주의의 표상이기도 하다. , 그것은 잃어버린 소련의 영광을 복기하게 하는 상징이자 21세기 러시아가 지향하는 정체성 정치에 대한 선언이다. 이 책에서는 러시아가 자신을 세계에 드러내는 방식에 대한 비판적 읽기와 함께 서구의 러시아에 대한 일방적 공격으로부터도 거리를 두면서 궁극적으로 러시아와 서구 대립의 기저에 놓여 있는 문명사적인 충돌을 읽어내려 한다.

 

 

차례

 

. 유라시아의 러시아인

 

탈근대적 연방주의: 러시아-벨라루스 국가연합의 형식과 성격 - 김선래

2010년대 러시아 국제이주 양상과 중앙아시아 노동 이주 변화 - 최우익

에스토니아 내 러시아인 디아스포라 정체성 - 김혜진

유라시아 민족 간 출생 의례 차이: 러시아인, 야쿠트인, 추바시인 - 김민수

 

. 동북아 질서와 러시아

 

국제질서 변화와 동북아 안보 지형 - 황성우

디지털 시대, 러시아와 동북아의 정보통신기술(ICT) 협력 - 김유정

 

. 한국의 러시아 인식

 

한국 국민의 러시아 인식과 루소포비아 현상 - 최우익

해방 후 북한 진주 소련군과 북한 주민의 루소포비아 - 송준서

정치적 올바름입니까, 혐오입니까?: 루소포비아를 다시 생각한다 - 이지연

 

. 세계와 러시아어

 

현대 러시아어 변화 추세: 러시아어 형태론을 중심으로 - 표상용

전국 대학()생 러시아어 토론대회’: 외국어 토론대회의 현황과 과제 - 김준석·이새봄

목록